구원의 청사진, 성소

13. 여호와의 불

by webmaster posted Oct 25,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강의 오디오 듣기(MP3 다운로드)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불은 하나님의 임재를 뜻하는 존재

이번 글은 원시 성소에 이어 광야 성소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약의 제사제도에서 불의 존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의 역사를 통틀어 불은 하나님의 임재를 뜻하는 존재였습니다. 광야를 지날 때 하나님께서는 불기둥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을 인도하셨습니다. 모세가 성소를 봉헌하는 마지막 축복기도를 마치자 하나님께서 불을 내리셔서 번제물과 기름을 살랐습니다. “불이 여호와 앞에서 나와 제단 위의 번제물과 기름을 사른지라 온 백성이 이를 보고 소리 지르며 엎드렸더라.”(레위기 9장 24절)

레위기 9장의 내용은 광야 성소를 보여줍니다. 광야 성소는 솔로몬이 예루살렘에 성전을 지을 때까지 유대인들의 삶과 신앙을 지배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위대한 왕 솔로몬이 봉헌한 성전에서도 똑같이 하늘에서 여호와의 불이 내려와 제물을 사르면서 건물로서 성전건물이 광야 성소를 직접 계승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역대하 7장 1절). 그래서 광야 성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붙인 불은 나무와 양만 태울 수 있었습니다. 그 불로 죄인의 죄는 절대로 태울 수도 도말할 수도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가납하시는 제물만 하늘에서 내리는 불로써 죄를 없앨 수 있습니다. 제물을 태운 불은 성소 안으로 옮겨져 분향단의 향을 사르고 촛대에 불을 붙여서 성소를 환히 밝히는 역할을 했습니다.

번제단은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보여줍니다. 벌려진 나무 위에 양의 머리와 몸통, 앞다리와 뒷다리, 꼬리 등을 가지런히 올려놓으면 영락없이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님과 같습니다. 주님께서 가시관을 쓰시고 십자가에 손과 발이 못 박혀 달리신 희생을 상기시킵니다. 다른 부분이 있다면 번제단의 제물과 달리 예수님께서는 하늘의 심판의 불로 마음이 불로 활활 타오르신 것입니다. 그분께서 짊어지신 것은 육신의 고통을 넘어 인간의 죄였습니다.

이 고통을 잘 표현한 말씀이 시편 22편입니다. 소위 ‘메시야 시편(messianic psalm)’으로 불리는 시편 22편은 십자가 사건 이후 예수님께서 부활하시고 제자들에게 나타나셔서 성경을 가르치신 내용의 핵심을 이루기도 했습니다. “내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 너희에게 말한 바 곧 모세의 율법과 선지자의 글과 시편에 나를 가리켜 기록된 모든 것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한 말이 이것이라.”(누가복음 24장 44절) 시편 22편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한 편의 그림처럼 사실 그대로 예언하고 있습니다. “내 하나님이여 내 하나님이여 어찌 나를 버리셨나이까 어찌 나를 멀리 하여 돕지 아니하시오며 내 신음 소리를 듣지 아니하시나이까?”(1절) 가상칠언(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매달린 채 죽기 전에 남긴 일곱 가지의 말)의 하나가 등장하더니 바로 십자가에서 세상의 모든 죄를 지신 고통을 토해내는 눈물겨운 장면이 이어집니다. “나는 물 같이 쏟아졌으며 내 모든 뼈는 어그러졌으며 내 마음은 밀랍 같아서 내 속에서 녹았으며 내 힘이 말라 질그릇 조각 같고 내 혀가 입천장에 붙었나이다 주께서 또 나를 죽음의 진토 속에 두셨나이다.”(14〜15절) 여기서 ‘물 같이 쏟아졌다’라는 표현은 예수님께서 감당하셨던 마음의 절망을 나타내고 있는 말씀입니다. 그리고 ‘뼈가 어그러졌다’라는 표현은 십자가에서 위골(違骨)되는 모습을 예언하고 있으며, ‘속에서 녹았다’라는 표현 역시 여호와의 불에 사정없이 녹아내리는 예수님 자신의 심정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마음의 뼈가 다 하나님의 불에 뒤틀리는 고통을 당하시는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의 죄의 값입니다. 선지자 이사야는 이 고통을 두고 “혼자서 포도즙틀을 밟았다”(이사야 63장 3절)고 묘사합니다. 이사야는 “여호와께서 그에게 상함을 받게 하시기를 원하사 질고를 당하게 하셨다”(이사야 53장 10절)고 했는데, 히브리어의 원래 뜻을 살려 번역하면 “여호와께서 그를 부수시기를 기뻐하사”가 적절한 표현입니다. 하나님께서 자기 아들에게 우리의 모든 죄, 즉 끔찍한 위선과 거짓, 욕심과 교만 등을 다 올려놓으시고 심판하시고 불에 태우셨습니다.

예수님은 그 말할 수 없는 고통, 세상의 어떤 존재도 견딜 수 없는 둘째 사망의 지독한 통증을 홀로 받으셔야 했습니다. 정말로 몸이 쪼개지고 부서지고 으깨진 것입니다.

이러한 예수님의 고난을 인간의 언어로 표현할 길이 없습니다. 요한복음 16장 14절 말씀에서 “그가 내 영광을 나타내리니 내 것을 가지고 너희에게 알리시겠음이라”고 하셨는데 그것은 바로 십자가의 불에 타서 돌아가신 예수님의 속죄의 영광을 성령께서 드러내시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고통을 명상하면서 죄를 싫어하고 극복하게 되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성경구절

  • 레위기 9장 24절
  • 역대하 7장 1절
  • 누가복음 24장 44절
  • 시편 22편 1절
  • 시편 22편 14〜15절
  • 이사야 63장 3절
  • 이사야 53장 10절
  • 요한복음 16장 14절

  1. 10. 가인의 제사와 아벨의 제사 간의 차이점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왜 사랑의 하나님이 두 사람을 공평하게 대우하지 않으신 것일까요? 창세기 4장 3〜5절의 말씀을 보면 인간이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후에 하나님께 처음으로 제사를 드린 기록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세월이 지난 후에 가인...
    Date2020.10.19 Bywebmaster
    Read More
  2. 11. 제사의 주인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사람들은 짐승을 죽였지만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독생자 아들을 죽이셨습니다. 지난 글에 이어 이번 글에서도 가인과 아벨의 제단이 갖는 근본적인 차이점을 계속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의 동물 애호가들은 일절 모피를 입지...
    Date2020.10.21 Bywebmaster
    Read More
  3. 12. 제사의 목적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역시 인간을 향한 사랑의 발로 하나님의 율법은 단호합니다. 로마서 7장 12절을 보면 하나님의 율법의 성격이 하나님의 품성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로 보건대 율법은 거룩하고 계명도 거룩하고 의로우며 선...
    Date2020.10.23 Bywebmaster
    Read More
  4. 13. 여호와의 불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불은 하나님의 임재를 뜻하는 존재 이번 글은 원시 성소에 이어 광야 성소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약의 제사제도에서 불의 존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의 역사를 통틀어 불은 하나님의 임재를 ...
    Date2020.10.25 Bywebmaster
    Read More
  5. 15. 만남의 장소, 회막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위로 올라가는 제사’ 이제부터는 성소에 나타난 제사들의 의미를 하나씩 찾아볼까 합니다. 성소에서 불을 가지고 제물을 태운다고 해서 성경은 제사를 기본적으로 ‘화제(火祭)’라고 부릅니다. 특별히 화...
    Date2020.10.27 Bywebmaster
    Read More
  6. 19. 죄 사함의 과정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각자가 자신의 죄를 안수해야만 속죄가 이루어진다 지난 글에 이어 이번 글에서는 번제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레위기 1장 4절에서 “그는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할지니 그를 위하여 기쁘게 받으심이 되...
    Date2020.11.03 Bywebmaster
    Read More
  7. 21. 새의 번제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성령께서는 왜 비둘기 모양으로 오셨을까요? 레위기 1장 14절부터 보면 새[鳥]로 드리는 번제에 대한 기록이 나옵니다. 유대인들의 제사제도를 익히 알고 있다 할지라도 새를 번제로 드리는 제사에 대해서는 생소하게 느끼는 경우...
    Date2020.11.08 Bywebmaster
    Read More
  8. 22. 소제에 나타난 주님의 고난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여호와께 드리는 모든 소제물에는 누룩을 넣지 말지니 이번 글에서는 화제 중에서 소제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위기 2장 1〜2절에는 소제에 대한 다음과 같은 내용이 등장합니다. “누구든지 소제의 예물을 여...
    Date2020.11.09 Bywebmaster
    Read More
  9. 23. 첫 열매의 소제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처음 익은 곡식은 번제단 위에 올리지 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난 글에 이어 계속 소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제를 드릴 때 하나님께서 금하신 두 가지가 누룩과 꿀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너희...
    Date2020.11.10 Bywebmaster
    Read More
  10. 24. 화목제, 평화의 제사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예수님께서 제물이 되셔서 우리의 죄를 지고 돌아가신 그 결과를 하나님과 사람들이 함께 나눔으로 화목과 평화가 돌아오게 된다 이번 글에서는 화목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위기 3장 1절을 보면 화목제에 대한 여러 ...
    Date2020.11.12 Bywebmaster
    Read More
  11. 26. 제사장이 먹는 음식의 의미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성경의 예언대로 예수님은 뼈가 하나도 꺾이지 않은 상태로 운명하셨다 지난 글에 이어 화목제에 대하여 계속 살펴보겠습니다. 레위기 7장 29절로 34절에 보면 화목제에서 제사장이 차지할 몫이 따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
    Date2020.11.15 Bywebmaster
    Read More
  12. 28. 속죄제의 종류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속죄하다’라는 말의 진정한 의미 이제부터는 속죄제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위기 4장 1〜4절에는 속죄제에 대해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
    Date2020.11.19 Bywebmaster
    Read More
  13. 29. ‘속죄하다’의 진정한 의미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세 가지 속죄의 영수증 지난 글에서 회중 전체를 위한 속죄제와 개인을 위한 속죄제가 다르다는 사실을 말씀드렸습니다. 이번에는 하나님께서 어떻게 우리의 죄를 처리하시는지 그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개인...
    Date2020.11.22 Bywebmaster
    Read More
  14. 30. 속죄의 마지막 결과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아무리 태산 같은 죄도 예수님의 피로 다 지워지고 영원히 기억되지 아니할 것이다 이제 속죄제의 마지막 과정과 그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소로 죄를 옮기는 단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번제단에서, ...
    Date2020.11.22 Bywebmaster
    Read More
  15. 31. 십자가, 땅의 심판을 예표

    강의 오디오 듣기(팟캐스트) 하나님의 얼굴이 보여 질 때, 이것은 곧 심판을 의미한다 성소는 크게 두 개의 정사각형 마당으로 되어 있었는데 그 앞마당에는 십자가를 상징하는 번제단이 있었고, 뒷마당에는 성막(회막)이 있었습니다. 성막은 또 둘로 나누어 ...
    Date2020.11.26 Bywebmaster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